2024경기도자비엔날레《국제공모전》박종진(00) 동문 GCB우수상 수상
국민대학교(총장 정승렬) 조형대학 도자공예학과 00학번 박종진 동문(서울여자대학교 공예전공 교수)이 '2024 경기도자비엔날레' 국제공모전에서 GCB우수상을 수상했다.
한국도자재단은 7일, '2024 경기도자비엔날레' 개막을 30일 앞두고 국제공모전 최종 수상작 57점을 발표했다. 경기도자비엔날레 국제공모전은 전 세계 도예 작가들이 작품을 발표하고 경쟁하는 무대로, 도자예술의 미래를 제시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전시 교류의 장이다. 올해 공모전에는 73개국에서 1,097명의 작가가 참여해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이번 국제공모전에서는 GCB대상 1점, GCB우수상 8점, GCB전통상 1점, GCB특별상 4점 등 주요 수상작 14점을 포함해 총 57점이 선정됐다. 특히 GCB대상은 미국 작가 매트 베델(Matt Wedel)의 ‘결실(結實)의 풍경(Fruit Landscape)’이 차지했다. 이 작품은 1,505대 1의 경쟁률을 뚫고 최고의 영예를 안았다. 심사위원들은 이 작품에 대해 "흙과 불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경이로운 표현력과 기술적 독창성이 돋보인다"고 평가했다.
GCB우수상에는 박종진 동문의 ‘예술적 지층_역설적인 것들(Artistic Stratum_Paradoxical Things)’를 비롯해 △한국 작가 김아영의 ‘조룡 복원도(Restoration of Joryong)’ △김현영의 ‘의지라는 게 존재한다면(If there is such a thing as will)’ △임지현의 ‘Flickering Object’ △모현서의 ‘블라인드(Blind)’가 선정되었다. 또한 △자오징 왕(중국)의 ‘가시적인2(Visible2)’ △브루스 테일러(캐나다)의 ‘비밥(Bebop)’ △키미에 이노(브라질)의 ‘코케다마(Kokedamas)’도 우수상을 수상했다.
새롭게 신설된 GCB전통상은 한국 작가 이종민의 ‘생사고락生死苦樂(Life and Death Pain and Pleasure)’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으며, GCB특별상에는 △최나운의 ‘충돌(Bump)’ △박소은의 ‘安 가시방석(Comfy thorn seat)’ △디타 코시오(칠레)의 ‘오브제(Object)’ △캐서린 바체스키(미국)의 ‘전이공간(Liminal Space)’이 선정되었다.
수상작들은 2024년 10월 5일 여주도자세상에서 열리는 '2024 경기도자비엔날레' 개막식에서 시상되며, 비엔날레 기간 동안 여주 경기생활도자미술관에서 전시된다. 이번 '2024 경기도자비엔날레'는 10월 6일부터 11월 20일까지 45일간 경기도 이천, 여주, 광주를 중심으로 다양한 전시와 행사를 통해 개최될 예정이다.
최문환 한국도자재단 대표이사는 "이번 국제공모전에 참여해 주신 전 세계 도예가 분들과 심사위원 분들께 감사드린다"며 "현대 도자예술의 다채로운 작품들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출처: 동아일보(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240809/126436598/1)
2024경기도자비엔날레 《국제공모전》
2:49"~
전시개요
동시대 현대도자예술의 다양성과 미래가치를 확인하는 세계적인 도자예술의 장
2001년부터 2024년까지 12회에 걸쳐 진행된 2024경기도자비엔날레(GCB2024) 국제공모전은 매회 70여개국 1,500여명의 작가가 참여하고 있는 세계적 규모의 도자공모전입니다. 금년 국제공모전에는 73개국에서 1,097명의 작가가 1,505점의 작품을 출품하여 1차적으로 이루어진 온라인 이미지 비공개 심사를 통해 61점이 선정되었고, 마찬가지로 비공개로 이루어진 2차 실물심사를 통해 주요수상작 14점을 포함한 57점의 수상작품이 확정되었습니다.
이번 국제공모전은 공정성을 위해 모든 심사 절차가 철저하게 비공개로 진행되었고, 총 10명의 전문가분들께서 참여하셨습니다. 심사위원분들께서는 도자예술의 트렌드를 이끌만한 작품들과 도예작업에 대한 강한 몰입이 도드라지는 작품에 주목하였고, 이번 국제공모전의 작품들이 전반적으로 시대상을 담은 참신하고 실험적인 작품으로 구성되었다고 평가하였습니다. 특히, GCB대상 수상작은 흙과 불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경이로운 표현과 높은 수준의 기술적 독창성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평가하였습니다. 또한 수상한 57점의 작품 모두 대상작품과 비견될만한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강조하였습니다.
주목할만한 점은 실물심사위원 전원의 동의 하에 GCB전통상이 1점으로 조정되었고 당초 예정된 시상 외, GCB특별상이 주요 시상으로 포함되었다는 점입니다. 해당 시상은 각각의 현장 심사위원분들이 선정한 작품들로, 심사위원이 전하는 작가를 향한 강한 독려의 메세지가 전달되기를 바랍니다.
이처럼 세계 현대도자의 흐름과 도자예술의 다양한 표현 방식이 담긴 작품들은 한국 경기도 여주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경기도자비엔날레와 함께 열리는 본 공모전에 오셔서 57명의 작가가 선보이는 57점의 작품을 통해 직접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출처: 경기도자비엔날레 홈페이지 / https://www.gmocca.org/gcb2024/M000076/S001/conts.do)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4 |
2024경기도자비엔날레《국제공모전》박종진(00) 동문 GCB우수상 수상
2024.10.09
|
관리자 | 2024.10.09 | 0 | 215 |
3 |
[소식]
[SCK X ADOBE]《어도비 맥스(Adobe Max) 공모전》도자공예학과 임언지(24) 이미지 부문 1등 수상
2024.10.09
|
관리자 | 2024.10.09 | 0 | 277 |
2 |
[소식]
2024 국민대학교 동문 초대 판매전시『도자공예 판매전』 / 북악도예가회 X 국민대학교 대외협력팀
2024.06.12
|
관리자 | 2024.06.12 | 0 | 298 |
1 |
[소식]
<적층된 그리드-Layered Grid> / 박종진(도자공예학과 00)동문 개인전
2024.06.12
|
관리자 | 2024.06.12 | 0 | 299 |